코딩딩딩
(python) 딕셔너리(dictionary) 사용법 및 예제 본문
1. 개념
딕셔너리는 사전형 데이터로 key와 그에 대응하는 value값이 존재한다.
마치 사전처럼 key값에만 접근을 하여도 그에 대한 value값까지 알 수 있게 되는 형식입니다.
key값은 변할 수 없고 value값만 변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과일의 가격을 딕셔너리형으로 저장해 보겠습니다.
fruits = {"apple": 2000, "orange": 1000, "banana": 700, "strawberry": 5000}
위의 코드를 해석해 보면 사과 2000원, 오렌지 1000원, 바나나 700원, 딸기 5000원으로 저장을 했습니다.
만일 바나나의 가격이 1000원으로 올랐다면 어떻게 바꿔줘야 할까요?
fruits["banana"] = 1000
위 코드처럼 "딕셔너리명[key] = value" 이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.
반대로 "watermelon"을 추가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?
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"딕셔너리명[key] = value" 이 코드를 사용합니다.
fruits["watermelon"] = 10000
2. 반복문에서의 딕셔너리
2-1 key값 확인
for key in fruits:
print(key)
OR
for k in fruits.keys():
print(k)
출력 화면
apple
orange
banana
strawberry
2-2 value값 확인
for v in fruits.values():
print(v)
출력 화면
2000
1000
700
5000
2-3 key와 value 쌍으로 확인
for v, k in fruits.items():
print(v + "의 가격은 " + str(k) + "원 입니다.")
출력 화면
apple의 가격은 2000원 입니다.
orange의 가격은 1000원 입니다.
banana의 가격은 700원 입니다.
strawberry의 가격은 5000원 입니다.
'파이썬 >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python) 백준 시간초과 해결 - 입출력 개선 (0) | 2023.02.18 |
---|---|
(python) enumerate 개념 및 사용법 (0) | 2023.02.13 |
(python) 한 줄에 여러 수 입력 받는 법 (0) | 2023.02.08 |
(python) 파이썬 리스트 활용 함수 (2) | 2023.01.15 |
(python) 순열, 조합, 중복순열, 중복조합 구현(Feat. itertools) (0) | 2023.01.10 |
Comments